leehyeon-dv 님의 블로그
스프링 부트 3 코드&구조 이해하기 본문
✨목차
- @SpringBootApplication 이해하기
- @SpringBootApplication 의미 파악
- 프로젝트 이해
- 스프링에서의 계층
- 디렉터리 구성
- main 디렉터리 구성
- build.gradle에 의존성 추가하기
- 프레젠테이션, 서비스, 퍼시스턴스 계층 만들기
- 작동 확인하기
- 스프링 부트 요청-응답 과정 이해하기
1📌@SpringBootApplication 이해하기
//springBootDeveloperApplication.java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SpringbootDeveloper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SpringbootDeveloperApplication.class, args);
}
}
이 클래스는 자바의 main()메서드와 같은 역할을 한다
@SpringBootApplication 애너테이션을 추가하면 스프링 부트 사용에 필요한 기본 설정을 해준다
SpringApplication.run() 메서드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1. 첫번째 인수 =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의 메인클래스로 사용할 클래스
2. 두번째 인수 = 커맨드 라인의 인수들 전달
2.📌@SpringBootApplication 의미 파악
ctrl 애너테이션을 눌러서 구성을 보면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Inherited
@SpringBootConfiguration //스프링 부트 관련설정
@EnableAutoConfiguration
@ComponentScan(
excludeFilters = {@Filter(
type = FilterType.CUSTOM,
classes = {TypeExcludeFilter.class}
), @Filter(
type = FilterType.CUSTOM,
//사용자가 등록한 빈을 읽고 등록
classes = {AutoConfigurationExcludeFilter.class}
)}
)
public ......
- @SpringBootConfiguration = 스프링 부트 관련설정 애너테이션
- @ConponentScan = 사용자가 빈을 읽고 등록하는 애너테이션 (@Component라는 애너테이션을 찾아 빈으로 등록)
@Configuration | 설정 파일 등록 |
@Repository | ORM 매핑 |
@Controller, @RestController | 라우터 |
@Service | 비지니스 로직 |
- @EnableAutoConfiguration = 스프링 부트에서 자동 구성을 활성화하는 애너테이션
3.📌프로젝트 이해
- TestController = 외부 요청을 분기해 적절한 서비스 클래스와 연결해 작업을 처리하고 값을 반환 (어떤 요청인지 판단)
- TestService = 데이터베이스 조작이나 비지니스 로직을 메서드 기반으로 처리 (그 요청에 맞는 작업실행)
- Member클래스로 구현한 클래스를 MemberRepository인터페이스가 실제 테이블과 매핑
- 실직적인 데이터는 h2 데이터베이스에 쌓임
build.gradle에 앱 개발에 필요한 도구를 적으면 알아서 로딩해줌
- JPA = 데이터베이스 연결 및 구현
- lambok = 클래스 메서드 구현 도우미
- h2 =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4.📌스프링에서의 계층
- 프레젠테이션계층 = HTTP요청을 받고 이 요청을 비지니스 계층으로 전송(컨트롤러가 이 계층역할을 함)
- TestController클래스와 같은 것을 말하며 컨트롤러가 여러개 일 수 있음
- 비지니스 계층 = 모든 비지니스 로직을 처리(서비스를 만들기위한 로직)
- 퍼시스턴스 계층 = 모든 데이터베이스 관련로직 처리 , 이 과정에서 DAO 객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 DAO = 데이터베이스 계층과 상호작용하기위한 객체
5.📌디렉터리 구성
- main = 실제코드 작성하는 공간, 프로젝트 실행에 필요한 소스코드나 리소스 파일은 모두 이 폴더 안에 있음
- test =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를 테스트할 목적의 코드나 리소스 파일이 들어있음
- build.gradle = 빌드를 설정하는 파일, 의존성이나 플러그인 설정 등과 같이 빌드에 필요한 설정을 할때 사용
- settings.gradle = 빌드할 프로젝트의 정보를 설정하는 파일
6.📌main 디렉터리 구성
- templates 디렉터리 = HTML과 같은 뷰 관련 파일을 넣음
- static디렉터리 = JS, CSS, 이미지와 같은 정적 파일을 넣는 용도로 사용
- application.yml = 스프링 부트 설정 ( 스프링 부트 서버가 실행되면 자동으로 로딩되는 파일)
- 데이터베이스의 설정정보, 로깅설정 정보 등이 들어가거나 직접 설정 정의 시 사용
application.properties와 application.yml 차이
application.properties | application.yml |
간단한 설정파일에 적합 | 계층적구조로 가독성이 뛰어남 |
key-value형식으로 문법이 단순 | 복잡한 설정을 더 직관적으로 작성 |
초보자나 간단한 프로젝트 작성시 추천 | 설정이 많거나 계층구조 복잡할때, 협업에서 가독성을 높일때 추천 |
7.📌build.gradle에 의존성 추가하기
스프링부트용 JPA인 스프링 데이터 JPA
로컬환경과 테스트환경에서 사용할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인 H2
반복 메서드 작성작업을 줄여주는 라이브러리 롬복 추가
dependencies {
...
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runtimeOnly('com.h2database:h2')
compileOnly('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org.projectlombok:lombok')
}
- implementation : 프로젝트 코드가 컴파일 시점과 런타임에 모두 해당 라이브러리를 필요로할때
- testImplementation : 프로젝트의 테스트 코드를 컴파일하고 실행할 때만 필요한 의존성을 설정, 테스트코드에서만 사용
- runtimeOnly : 런타임에만 필요한 의존성을 지정
- compileOnly : 컴파일 시에만 필요
- annotationProcessor : 컴파일 시에 애너테이션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도구의 의존성 지정
8.📌프레젠테이션, 서비스, 퍼시스턴스 계층 만들기
TestController.java
@RestController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Autowired
TestService testService;
@GetMapping("/test")
public List<Member> getMembers() {
List<Member> members = testService.getMembers();
return members;
}
}
TestService.java (같은 디렉토리에 만들기)
@Service
public class TestService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빈 주입
public List<Member> getMembers() {
return memberRepository.findAll(); //멤버 목록열기
}
}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이제 DB에 접근할때 사용할 객체인 Member DAO를 생성하고 실제 DB에 접근하는 코드를 작성한다
Member.java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AllArgsConstructor
@Getter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 name = "id", updatable = false)
private Long id; //DB테이블의 id 컬럼과 매칭
@Column(name = "name",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name; //DB테이블의 name 컬럼과 매칭
}
이제 member 테이블과 Member 클래스를 매핑하는 코드 작성하기
MemberRepository.java 인터페이스 생성
@Repository
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mber, Long> {
}
9.📌작동 확인하기
현재는 인메모리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을 새로 실행 시 마다 데이터가 사라져 불편하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에 원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넣는 작업을 하자
resource파일에 data.sql을 만든다
INSERT INTO member (id, name) VALUES (1, 'user1');
INSERT INTO member (id, name) VALUES (2, 'user2');
INSERT INTO member (id, name) VALUES (3, 'user3');
application.yml 파일을 열어 아래 코드로 변경한다
(show-sql , format_sql = 애플리케이션 실행과정에 데이터베이스에 쿼리할 일이 있으면 실행 구문을 모두 보여주는 옵션)
(defer-datasource-initialization :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시에 테이블을 생성하고 data.sql파일에 있는 쿼리를 실행하도록하는 옵션)
기존에 만들어둔 application.yml을 열어 작성
spring:
jpa:
show-sql: tru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defer-datasource-initialization: true
전송 쿼리 확인 후 테이블 생성한 다음 data.sql 실행
서버를 실행해 create를 검색해보면 테이블이 만들어짐을 볼 수 있다
이제 HTTP로 요청 시도
포스트맨으로 (http://localhost:8080/test)입력하면 data.sql 파일로 작성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결론(포스터맨에서 데이터를 보기까지의 과정
10.📌스프링 부트 요청-응답 과정 이해하기
- /test GET요청 → 스프링부트 내로 이동
- url 분석해 TestController가 /test라는 패스에 대한 GET요청을 처리할수 있는 getAllMembers()메서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TestController에 GET요청 전달
- getAllMembers() 메서드에서는 비지니스 계층과 퍼시스턴스 계층을 통하면서 필요한 데이터 가져옴
- 뷰 리졸버가 템플릿엔진을 사용해 HTML 문서를 만들거나 JSON, XML데이터를 생성함
- 결과 members를 return해 포스트맨에서 결과를 볼 수 있게 된다
'spring > spring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조작이 편해지는 ORM (1) | 2024.12.24 |
---|---|
스프링 부트와 테스트 (1) | 2024.12.21 |
스프링 부트 3 둘러보기 (1) | 2024.12.20 |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 (0) | 2024.12.20 |
백엔드 개발자가 알아두면 좋은 지식 (1)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