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hyeon-dv 님의 블로그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본문
💡aws rds에서 db를 만든다
aws에서 과금이 안되도록 설계하려는 과정입니다
1. aws에서 rds에 들어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MySQL을 선택합니다
템플릿은 프리티어로 만듭니다
이름을 설정합니다
암호도 적습니다 ( 기억해둬야함)
혹시 몰라서 백업도 꺼줍니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 누르면 생성 성공~!🔥
이렇게 생성됐으면 datagrip에서 aws를 연결한다
🤔연결안되는 이슈
datagrip에 연결하려했더니 연결이 안됨
1. aws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가서 수정으로 간다
2. 퍼블릭 엑세스를 한다
🤔그래도 안됨
보안설정
홈으로간다
EC2로 간다
대시보드에서 보안그룹으로 들어온다
인바운드 규칙편집으로 들어간다
규칙을 추가함
이렇게 만든 규칙을 추가한다
호스트에 엔트포인트를 넣고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작성합니다
이때 aws rds에서
여기에 있는 이름은 rds의 인스턴스이름이다 데이터베이스와는 별개이다
RDS 인스턴스는 데이터베이스를 호스팅하는 환경이고, 그 안에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사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이름을 넣으면 안된다
연결 성공🔥🔥
여기서 ctrl+enter을 누른다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그 후에
spring:
datasource:
url: jdbc:mysql://springstart.{ }:3306
username: [유저이름]
password: [비밀번호]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sql:
init:
mode: never
jpa:
properties:
hibernate:
dialect: org.hibernate.dialect.MySQL8Dialect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use_sql_comments: true
hbm2ddl:
auto: update
default_batch_fetch_size: 1000
이렇게 작성해준다
728x90
'백엔드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UMC] JPA 활용 (0) | 2025.05.07 |
---|---|
[UMC] JPA 기초 및 프로젝트 구조 (0) | 2025.04.28 |
스프링 환경 갖추기 (0) | 2024.12.18 |
RESTful 웹 서비스 사용 (0) | 2024.11.25 |
RESTful 웹 서비스 구축 (1)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