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11/28 (2)
leehyeon-dv 님의 블로그
1. 테스트 코드 테스트 코드는 왜 작성해야할까 ? 개발과정에서 문제를 미리 알 수 있다리팩토링의 리스크가 줄어든다애플리케이션을 재 가동해 직접 테스트 하는것보다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코드 작성 목적 및 불필요한 내용의 추가를 방지할 수 있다 📄테스트 코드 작성 전 테스트 과정 코드를 수정한다서버를 동작시킨다테스트에 필요한 데이터를 DB에 입력한다메소드를 동작시킨다테스트를 마치고 DB를 확인한다반복규모가 커지면 이 방법으로 테스트를 하면 매우 귀찮다 따라서, 📝 테스트 코드 작성 후 테스트 과정코드를 수정테스트 코드 실행결과 확인😊장점서버 실행하는 등의 시간절약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기입하고 테스트 끝나고 정리하는 등의 행동을 하지 않아도 된다테스트 코드는 다양한 패턴이 있다 이중 알아볼 패턴은..
🔎의존성 주입이란?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객체 Bean을 생성하고 생성한 객체를 지정한 객체에 주입하는 방식객체 자체가 코드상에서 객체 생성에 관여를 안하기 때문에 객체 사이의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해 객체의 의존관계를 관리한다✏️의존성 주입 🚗 → 🔋 예를들어 , 장난감은 배터리가 있어야 움직일 수 있기에 배터리에 의존한다 장난감에게 배터리를 넣어주는 것을 의존성 주입이라고 생각하자 //배터리 일체형class Toy { private Battery battery = new Battery(); //배터리 분리형class Toy{ private Battery battery; public Toy(Bat..